HOME > 네이버 검색결과
네이버 백과사전 검색결과
NAVER OpenAPI
주택
[계획 및 설계] 가구의 세대원이 장기간 독립된 주택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건축물의 전부 또는 일부 및 그 부속 토지를 말함. 참고 : 건축학용어사전, 세화 [도시 및 단지] 하나의 세대가
주택
주거를 위하여 여러 공간을 넣어 지은 건축물. 한옥. 주택은 주거를 위하여 여러 공간을 넣어 지은 건축물이다. 우리나라 주택의 역사는 원시시대의 움집과 귀틀집, 고상식주거에서 시작되었다. 삼
대동주택
창원 및 경남 지역을 기반으로 한 건설업체. 대동주택은 경남과 창원 지역을 기반으로 한 건설업체로 1987년 세워졌다. 1988년 창원 사파대동 아파트(870세대)를 지었다. 1990년 대동유통을, 1991년 대동
영단주택
일제강점기 조선주택영단을 통해 건설된 주택형태. [개설] 영단주택은 일본에서는 서민계급의 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급되기 시작한 주택유형이지만, 식민지 조선에서는 전시체제하에서 일
국민주택
국민주택기금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건설하는 85m2 이하의 주택으로, 1973년 도입되었다. 국민주택시공하는 사업 주체는 국가, 지방자치단체, 한국토지주택공사, 한국토지공사 등이다. | 외
주택지역
거주 목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자연, 사회, 경제 및 행정의 관점으로 보아 합리적이라 판단되는 지역을 말한다. 주택지역은 생활상 안전하고, 위생적이고, 이편성이 뛰어나며 쾌적성이 높은 것 등이
중층주택
[계획 및 설계] ① 3층에서 5층으로 이루어진 주택으로, 대개 엘리베이터 없이 걸어서 올라갈 수 있는 층을 가진 주택으로 규정하기도 함. ② 주택은 높이에 따라 저층, 중층, 고층, 초고층 주택으로
시범주택
[계획 및 설계] 시공자가 신기술, 신공법을 적용하고 공사비 절감이 적용된 주택을 일반인에게 소개하는 주택. 참고 : 건축용어대사전, 기문당 [재료 및 시공] 주택자재의 개발, 시공기술의 개량, 기
목조주택의 새로운 도전 지족동 주택
[House Spec] || 위치 ||| 대전시 유성구 지족동 | || 설계 ||| 홍도영 | || 설계기간 ||| 2011.7~2011.10 | || 시공사 ||| 풍산우드홈 | || 시공기간 ||| 2012.1~2012.6 | || 대지면적 ||| 297.0m2 | || 건축면적 ||| 130.4m2 | || 건
국민주택
국민주택기금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건설되거나 개량되는 1세대 당 85㎡ 이하(일부 읍 또는 면 지역은 100㎡ 이하) 이하인 단독주택ㆍ아파트ㆍ연립주택 등의 상시주거용 서민주택을 말한다. 국
<<
이전
1